----------------------------------------------------------------------
A. 세상에는 별처럼 많은 사람과 사물이 있고, 그 모든 사람과 사물에는 다 이름이 있습니다. 그 이름을 명사라고 하므로, 명사는 그야말로 셀 수 없이 많은 셈입니다. 그러나 우리말과 마찬가지로 영어에도 you, he, she, we, they, it, this, that처럼 그 많은 명사들을 대신하는 대명사라는 것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집회에 참석한 사람들 얘기를 하면서 Tom and Bill, Jack, Mike, Mary, Susan, Nancy… 식으로 일일이 그 이름을 거명해야 한다면 보통 일이 아닙니다. 또 President Bush(부시 대통령) 얘기를 하면서, 반복해서 계속 President Buch, President Bush 식으로 말해야 한다면 그 또한 불편하기 짝이 없습니다. 바로 그럴 때 복수 대명사 we나 they, 그리고 3인칭 단수 남성을 대신해 부르는 대명사 he 등이 큰 힘을 발휘합니다. 몇 개 안 되는 대명사로 수억이 넘는 명사를 다 지칭할 수도 있으므로, 대명사는 인간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더없이 편리한 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
Q. 대명사에는 5종류가 있다는데...
----------------------------------------------------------------------
A. 명사를 대신해 쓰는 대명사는 남녀 성 구분이나 단수·복수, 주격·소유격·목적격의 구분이 뚜렷한 편이며, 아래와 같이 크게 5가지 대명사 즉,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부정대명사, 의문대명사, 관계대명사로 나뉩니다. 여기서는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부정대명사, 의문대명사에 대해 살펴보고, 관계대명사는 워낙 설명할 것도 많고 하므로 차후 별도 문법 항목으로 잡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칭대명사 |
인칭 변화를 하는 사람․사물을 가리킨다. |
I, you, he, she, it, we, they, my, your, his, .... |
지시대명사 |
사물을 가리킨다. |
this, that, these, those |
부정대명사 |
막연한 사람․사물을 가리킨다. |
one, other, another, some, any, no, each, .... |
의문대명사 |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다. |
when, what, which |
관계대명사 |
형용사절을 이끈다. |
who, which, that |
Q. 인칭대명사에 대해 얘기해 주실래요?
----------------------------------------------------------------------
A. 인칭이란 어떤 명사나 대명사가 말하는 사람, 듣는 사람, 제 3자를 뜻하는 1인칭, 2인칭, 3인칭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래서 말하는 사람 즉 I는 1인칭 대명사, 듣는 사람 즉 대화 상대인 you는 2인칭 대명사, 제 3자인 he, she, it 등은 3인칭 대명사가 되며, 각 인칭대명사의 복수형은 we, you, they가 됩니다.
[Point] 일반적인 사람을 가리키는 주격 인칭대명사 you, we, they
인칭대명사 you, we, they는 원래 ‘당신’, ‘우리’, ‘그들’을 뜻하는 말이나, 특별히 누군가를 지칭하지 않고 막연한 사람 또는 사람들을 뜻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는 대개 ‘사람’ 또는 ‘사람들’로 옮기거나 아예 우리말로 옮기지 않습니다.
예) The more you get, the more you want. [일반적인 사람을 가리키는 you]
(가진 게 많으면 많을수록 더 갖고 싶어진다.)
We should always speak the truth. [일반적인 사람을 가리키는 we]
(사람이란 늘 진실을 말해야 한다.)
They say that she is an outspoken person. [일반적인 사람을 가리키는 they]
(그녀는 솔직한 사람이라면서요.)
[Point] 자립심이 강한 소유대명사 mine, yours, his, hers, theirs, ours
mine, yours, his, hers, ours, theirs 같은 소유대명사는 앞에 부정관사나 정관사를 붙이지 않으며, 그 자체로 ‘~의 것’이라는 완전 독립된 말이므로 뒤에 명사 없이 단독으로 쓸 수 있습니다. (his는 he의 소유격도 되고 소유대명사도 됩니다.)
예) His computer is much better than mine. [mine = my computer]
(그의 컴퓨터가 내 것보다 훨씬 좋다.)
The white house by the seaside is his. [his = his house]
(해변가에 있는 하얀 집이 그의 집이다.)
[Point] 'a friend of mine' 형태의 이중소유격
영어로 ‘나의 친구’는 my friend인데, ‘나의 한 친구’는 뭐라고 할까요? my a friend? 아니면 a my friend? 소유대명사 my와 부정관사 a가 나란히 나온다는 게 왠지 어색합니다. my, your, his, her 같은 소유대명사가 관사(a, an, the)나 지시대명사(this, that, these, those), 부정형용사(any, every, each, some, no, another) 등과 함께 쓰일 때는 이른바 이중소유격 형태 즉, <명사 + of + 소유대명사> 형태를 취합니다.
예) 나의 한 친구: a friend of mine (○)
a my friend (×)
my a friend (×)
너의 이 책들: these books of yours (○)
these your books (×)
your these books (×)
[Point] 쓸모가 많은 소유격 인칭대명사에 -self가 붙은 재귀대명사
재귀대명사란 소유격 인칭대명사 my, your 등에 ‘자신’이란 뜻의 -self를 붙인 myself, yourself, himself, herself, itself, ourselves, themselves 등을 일컫는 말로, 주어의 동작이 자신에게 되돌아간다는 뜻에서 ‘재귀’란 말이 붙은 것입니다. (재귀대명사 가운데 himself와 itself, themselves의 경우 소유격 인칭대명사 his나 its, their에 -self를 붙인 게 아니라 목적격 인칭대명사 him과 it, them에 -self를 붙인 형태라는 점에 유의하기 바람). 재귀대명사의 쓰임새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어의 동작 결과가 자신에게 미칠 때 재귀대명사를 씁니다.
재귀대명사가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주어의 동작이 자신에게 돌아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재귀대명사의 재귀적 용법이라 합니다. 우리말의 경우, “그는 자신을 미워한다.”에서 ‘자신’이 바로 재귀적 용법의 예라 할 수 있습니다.
예) The kidnaper killed himself with a gun.
(유괴범은 총으로 자신을 죽였다. → 자살을 했다)
She overworked herself and fell ill.
(그녀는 자신을 과로시켜 병이 났다. → 과로를 해 병이 났다)
▶ 주어·보어·목적어를 강조할 때 재귀대명사를 쓴다
재귀대명사가 문장 내에서 주어나 보어 또는 목적어를 강조하는 의미로 쓰일 때가 있는데, 이 경우 재귀대명사는 생략해도 문장이 성립되며 뜻도 통합니다.
예) I myself solved the problem. [주어 I를 강조, 재귀대명사 myself는 생략 가능]
(난 내 스스로 문제를 해결했다.)
It was Bill himself that loved her. [보어 Bill을 강조, 재귀대명사 himself는 생략 가능]
(그녀를 사랑한 건 빌 자신이었다.)
He came here to see Nancy herself. [목적어 Nancy를 강조. 재귀대명사 herself는 생략 가능]
(그는 낸시를 바로 그녀를 만나러 여기 왔다.)
▶ <전치사 + 재귀대명사> 형태로 숙어처럼 쓰일 때 재귀대명사를 쓴다
예를 들어 '그녀 자신’이란 뜻의 재귀대명사 herself 앞에 전치사 for를 붙여 for herself라 하면 ‘그녀 스스로’란 뜻이 됩니다. 영어에는 for oneself(스스로), by oneself(혼자, 홀로), to oneself(자기 자신에게), beside oneself(제정신이 아닌), of itself(저절로), in itself(본래, 그 자체로는)처럼 ‘전치사 + 재귀대명사’의 형태로 쓰이는 관용적인 표현들이 많습니다.
예) My younger brother tried to do it for himself. [for oneself - 스스로]
(내 동생은 스스로 그걸 하려고 애썼다.)
She was watching TV by herself. [by oneself - 혼자]
(그녀는 혼자 TV를 보고 있었다.)
He said to himself, "What shall I do next?" [to himself - 자기 자신에게]
(그는 “다음엔 뭘 하지?”하고 혼잣말을 했다.)
I was beside myself with jealousy. [beside oneself - 제정신이 아닌]
(난 질투로 제정신이 아니었다.)
The door quietly opened of itself. [of itself - 저절로]
(문이 소리 없이 저절로 열렸다.)
Wine is not bad for health in itself. [in itself - 그 자체로는]
(포도주는 그 자체로는 건강에 나쁘지 않다.)
[Point] 쓸모가 많은 인칭대명사 it
원래 앞에 한 번 나온 명사를 받아 ‘그것’이란 뜻으로 쓰이는 인칭대명사 it은 다음과 같이 그 쓰임새가 다양합니다. 실생활에서는 물론, 각종 영어 시험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용법들이므로, 이번 기회에 확실히 내 것으로 만들어 두시기 바랍니다.
▶ 날씨·시간·거리 등을 나타낼 때 쓰는 비인칭 주어 it
예를 들어 “비가 옵니다.”, “바람이 붑니다.”라고 할 때 “It's raining.”, “It's windy.”라고 하는데, 이처럼 날씨, 시간, 거리, 요일, 명암 등을 얘기할 때 별 의미 없이 문장 맨 앞에 쓰는 주어 it을 ‘비인칭 주어 it’이라 합니다. 비인칭 주어는 대개 따로 해석하지 않습니다.
예) It's a beautiful day today, isn't it? [날씨]
(오늘 날씨 참 좋네요, 그렇죠?)
It's half past eleven. [시간]
(11시 30분입니다.)
How far is it from here to your office? [거리]
(여기서 당신 사무실까진 얼마나 머나요?)
It's Sunday today. [요일]
(오늘은 일요일입니다.)
It is getting dark. [명암]
(날이 점점 어두워지고 있습니다.)
▶ 주어가 길 때 주어 대신 쓰는 가주어 it
예를 들어 “영어를 배우는 건 쉽지 않다.”란 말은 to 부정사를 써서 "To learn English is not easy." 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어가 이처럼 부정사구나 동명사구 또는
예) To answer the question is difficult for him. [부정사구가 진주어일 때]
= It is difficult for him to answer the question.
(그로선 그 질문에 답하기가 어렵다.)
Talking too much isn't wise. [동명사구가 진주어일 때]
= It isn’t wise talking too much.
(말을 너무 많이 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
That he killed her young wife is not true. [명사절이 진주어일 때]
= It is not true that he killed her young wife.
(그가 자신의 젊은 아내를 죽였다는 건 사실이 아니다.)
▶ 목적어가 길 때 목적어 대신 쓰는 가목적어 it
목적어가 to 부정사나 동명사 또는 명사절 형태를 취하고 있어 다소 길거나 복잡하다고 느껴질 때, 그 목적어 자리에 대신 가목적어 it이라는 걸 놓고 원래의 목적어(진목적어)는 문장 뒤로 돌릴 수가 있습니다.
예) He makes to take a walk after lunch a rule. [부정사구가 진목적어일 때]
= He makes it a rule to take a walk after lunch.
(그는 점심 식사 후 산책하는 걸 원칙으로 삼고 있다.)
They thought going there dangerous. [동명사구가 진목적어일 때]
= They thought it dangerous going there.
(그들은 거기 가는 건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 It is ~ that .... 강조 용법
예를 들어, "I met him in the supermarket yesterday."(나는 어제 슈퍼마켓 안에서 그를 만났다.)라는 문장은 It is ~ that ... 구문을 이용해 다음과 같이 고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that 바로 앞에 오는 말이 강조하려고 하는 말이 됩니다.
예) It was I that met him in the supermarket yesterday. [I를 강조]
(어제 슈퍼마켓 안에서 그를 만난 건 바로 나였다.)
It was him that I met in the supermarket yesterday. [him을 강조]
(내가 어제 슈퍼마켓 안에서 만난 건 바로 그였다.)
It was in the supermarket that I met him yesterday. [in the supermarket을 강조]
(내가 어제 그를 만난 건 바로 슈퍼마켓 안이었다.)
It was yesterday that I met him in the supermarket. [yesterday를 강조]
(내가 슈퍼마켓 안에서 그를 만난 건 바로 어제였다.)
Q. 지시대명사의 정체를 밝혀 주세요.
----------------------------------------------------------------------
A. 이것(this), 저것(that) 식으로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킬 때 쓰는 대명사를 지시대명사라 하는데, 일반적으로 this는 비교적 가까운 것을, that은 비교적 먼 것을 가리키며, 복수형은 각기 these와 those입니다.
[Point] 명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한 지시대명사 that, those
영어에서는 같은 단어가 반복 사용되는 걸 기피하는 경향이 있는데, 앞서 나온 단수 명사 대신 지시대명사 that을, 복수 명사 대신 지시대명사 those를 쓰는 것도 그 같은 경향의 연장입니다.
예) The population of South Korea is larger than that of North Korea. [that=the population]
(남한의 인구는 북한의 인구보다 많습니다.)
The ears of a rabbit are longer than those of a dog. [those=the ears]
(토끼의 귀는 개의 귀보다 길다.)
[Point] 앞에 한 말을 받는 that, 뒤에 할 말을 미리 받는 this
예를 들어 우린 상대가 "커피 한 잔 어때요?“하고 물어올 땐, ”아, 그거 좋지요.“, 무언가 명심해야 할 일을 얘기할 땐 ”이걸 명심해야 해. 늘 겸손해야 한다는 걸.“ 식으로 말을 합니다. 앞서 한 말을 받을 땐 ‘그것’, 앞으로 할 말을 미리 받을 땐 ‘이것’이라고 하는 것인데, 영어 경우 역시 앞서 상대가 한 말 등을 받을 땐 that, 앞으로 할 말을 미리 받을 땐 this라 합니다.
예) A: Let's go fishing.(낚시 가자.)
B: Oh, that sounds good.(오, 그거 좋지.) [that="Let's go fishing."]
What I want to say is this: "Do your best." [this="Do your best."]
(내가 말하고 싶은 건 이거야. “최선을 다하라.”)
[Point] 전자, 후자를 가리키는 that, this
앞에 나온 두 명사를 가리킬 때 앞서 나온 ‘전자’(the former)는 that, 후자(the latter)는 this라고 합니다. 뒤에서 볼 때 더 가까운 명사 즉 후자가 this가 되고, 더 먼 데 있는 명사 즉 전자는 that이 된다고 생각해 두면 되겠습니다.
예) Work and play are both good for health; this gives us rest, and that gives us energy.
[this=play, that=work]
(일과 놀이는 다 건강에 좋다. 후자[놀이]는 휴식을, 전자[일]는 활력을 준다.)
Health is above wealth, for this can’t give so much happiness as that.
[this=wealth, that=health]
(건강은 부보다 중요하다. 왜냐하면 후자[부]는 전자[건강]만큼 행복을 줄 수 없으니까.)
[Point] 관계대명사 who의 선행사로 쓰이는 those
지시대명사 that의 복수형 those가 관계대명사 who 바로 앞에 선행사로 쓰여 막연한 사람들 즉 people을 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예 those who...(…하는 사람들) 형태로 기억해 두는 게 좋겠습니다.
예) Those who live in glass houses should not throw stones.
(유리로 된 집에 사는 사람들은 돌을 던져선 안 된다.
→ 스스로 흠이 있는 사람은 남을 비난해선 안 된다.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하늘은 스스로 돕는 사람들을 돕는다.)
[Point] ‘이렇게’, ‘그렇게’의 뜻으로 쓰이는 this, that
this와 that은 대개 ‘이것’, ‘저것’이란 뜻의 대명사로 쓰이거나, this girl, that girl 식으로 명사 앞에 쓰여 ‘이 ~’, ‘저 ~, 그 ~’란 뜻의 형용사로 쓰이는 말이나, 형용사나 부사 앞에서 ‘이렇게’, ‘그렇게’의 뜻을 가진 부사로 쓰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 Can you spare me this much? [this - 이렇게}
(내게 이렇게 많이 나눠 줘도 돼?)
You are sure she's that young? [that - 그렇게]
(그녀가 그렇게 젊다는 게 확실해?)
'생활영어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시 대명사 (0) | 2006.03.01 |
---|---|
부정 대명사 (0) | 2006.03.01 |
문법 공부는 어떻게? (0) | 2006.03.01 |
단어는 얼마나 알아야 할까? (0) | 2006.03.01 |
단어 외울때 지켜야할 7가지 (0) | 2006.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