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형용사란 문장 내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말로, 예를 들어 ‘아름다운 아내’·‘부지런한 소년’·‘더러운 방’이란 말에서 명사인 아내·소년·방을 수식하는 아름다운·부지런한·더러운 등이 모두 형용사입니다. 그러나 형용사는 이처럼 명사 앞에 놓여 그 명사를 수식할 뿐만 아니라, 명사와 떨어져 그 명사를 서술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즉, 형용사 beautiful은 a beautiful wife(아름다운 아내) 식으로 바로 뒤에 나오는 명사를 수식하기도 하지만, “His wife is beautiful.”(그의 아내는 아름답다.) 식으로 명사(wife)와 떨어져 그 명사의 성질·상태 등을 서술하기도 합니다. 이때, a beautiful wife에서처럼 형용사가 바로 뒤에 나오는 명사의 성질·상태 등을 한정하는 경우를 형용사의 한정 용법이라 하며, "His wife is beautiful."에서처럼 형용사가 명사에서 떨어져 보어처럼 그 명사의 성질·상태 등을 서술해 주는 경우를 형용사의 서술 용법이라 합니다.
----------------------------------------------------------------------
Q. 형용사의 한정 용법은 뭐고 서술 용법은 또 뭔가요?
----------------------------------------------------------------------
A. 형용사는 크게 두 가지 용법, 즉 한정 용법과 서술 용법으로 쓰입니다. 한정과 서술이란 말이 지니고 있는 뉘앙스를 떠올리며 다음을 봐 주십시오.
Q. 형용사의 한정 용법에 대해 정리해 주세요.
----------------------------------------------------------------------
A. 형용사는 명사 바로 앞 또는 바로 뒤에서 그 명사의 성질·상태 등을 한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형용사의 이런 용법을 한정 용법이라고 합니다. 한정 용법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쓰입니다.
[Point] 형용사가 명사 바로 앞에서 수식하는 경우
예를 들어 gloomy Sunday(우울한 일요일), casual meeting(우연한 만남), huge building(거대한 빌딩)에서 명사 Sunday, meeting, building을 바로 앞에서 수식하고 있는 형용사 gloomy, casual, huge 등이 바로 그런 경우들입니다. 형용사의 한정 용법 가운데 가장 흔히 쓰이는 용법입니다.
예) She was a beautiful and wise woman.
(그녀는 아름답고 현명한 여자였다.)
Children demand constant attention.
(아이들은 끊임없는 주의를 필요로 한다.)
[Point] 형용사가 명사 뒤에서 수식하는 경우
형용사는 대개 자신이 수식하고자 하는 명사 앞에 위치하지만, ‘예외 없는 규칙 없다’고 다음과 같은 예외 경우들이 있습니다.
▶ -thing으로 끝나는 대명사를 수식할 때
형용사가 something, anything, nothing, everything처럼 -thing으로 끝나는 말들을 수식할 때는 일반적인 경우들처럼 그 앞에 붙지 않고 그 뒤에 붙습니다. 예를 들어 something이란 대명사를 써 ‘뭔가 재미있는 것’이란 말을 할 때 an interesting something이 아니라 something interesting이라 하는 게 그 좋은 예입니다.
예) I'd like to drink something cold, please.
(뭔가 차가운 걸 마시고 싶은데요.)
Is there anything interesting in the newspaper?
(신문에 뭐 재미있는 것 있어?)
▶ 서로 반대되는 의미의 형용사가 나열될 때
예를 들어 ‘large and small(크고 작은)’처럼 서로 반대되는 뜻의 형용사를 이용해 ‘크고 작은 상자들’이란 말을 할 경우, 'large and small boxes' 식으로 쓰지 않고, 'boxes, large and small' 식으로 명사 boxes 뒤에 동격 관계를 나타내는 쉼표(,)를 찍고 large and small이란 수식어를 그 뒤로 돌립니다. 수식어가 길 경우 그 수식어를 명사 뒤로 돌린다고 기억해 두시면 되겠습니다.
예) There are a lot of boats, large and small.
(크고 작은 배가 많다.)
The plane flew over many hills, high and low.
(비행기는 높고 낮은 많은 언덕 위를 날아갔다.)
▶ 2개 이상의 형용사가 연이어 나올 때
바로 앞 ②번과 비슷한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아름답고 상냥하고 가정적인 여자’라는 말에는 형용사가 3개(beautiful, sweet, home-loving)나 들어 있어, 그 형용사들을 전부 명사 woman 앞에 갖다 붙이기엔 다소 길게 느껴집니다. 이럴 땐 명사 woman 뒤에 쉼표를 찍고, 그 형용사들을 전부 뒤로 돌려 a woman, beautiful, sweet and home-loving 식으로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 He was a man, blunt, rude and unsociable.
(그는 무뚝뚝하고 무례하고 비사교적인 남자였다.)
In an island, solitary, still and scenic, there lived a girl.
(외떨어지고 조용하고 경치 좋은 한 섬에 한 소녀가 살았다.)
▶ 형용사 뒤에 그 형용사를 수식하는 수식어구가 있을 때
이 경우 역시 바로 앞의 두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식어가 길 때 그 수식어를 명사 뒤로 돌리는 경우입니다. 단, 이 경우, 명사 뒤에 쉼표(,)는 찍지 않습니다.
예) I saw a bamboo basket full of fresh fruit. [형용사 full 뒤에 수식어구 of fresh fruit이 있음]
(나는 싱싱한 과일이 가득 든 소쿠리를 보았다.)
He had many books difficult to read. [형용사 difficult 뒤에 to read란 수식어구가 있음]
(그에겐 읽기 힘든 책이 많았다.)
[Point] 한정 용법으로만 쓰이는 형용사들
형용사는 대개 한정 용법과 서술 용법에 두루 쓰이나, 다음과 같이 서술 용법에는 쓰이지 않고 오로지 수식하고자 하는 명사 바로 앞에 놓여 한정 용법으로만 쓰이는 형용사들도 있습니다.
▶ 비교급·최상급 형용사들
예) He cut his upper lip while shaving. [비교급 형용사]
(그는 면도를 하다 윗입술을 베었다.)
Have you ever met my eldest daughter? [최상급 형용사]
(우리 맏딸 만나본 적 있던가요?)
▶ only, mere, very 같은 형용사들
예) You were the only woman in the room.
(넌 방 안에 있었던 유일한 여자다.→ 여자는 너밖에 없었다)
To our surprise, the thief was a mere child.
(놀랍게도, 도둑은 어린아이에 지나지 않았다.)
He was the very man for the job.
(그는 이 일에 아주 적격인 인물이었다.)
▶ -en으로 끝나는 물질 형용사와 과거분사형 형용사들
물질명사 gold, wood, wool 등에 접미사 -en을 붙이면 ‘~으로 된(만들어진), ~제(制)의’의 뜻을 가진 형용사가 되는데, 이를 물질 형용사라 합니다. golden(금으로 된), wooden(나무로 된), woolen(모직으로 된) 등이 그 대표적인 예. 또한 형용사 중에는 불규칙 동사에 접미사 -en을 붙인 이른바 과거분사형 형용사들이 있는데, fallen(떨어진), rotten(썩은), 등이 그 좋은 예입니다.
예) They built a wooden house by the road. [-en으로 끝나는 물질 형용사]
(그들은 길가에 나무로 된 집[목조 가옥]을 지었다.)
She took a walk over the fallen leaves. [-en으로 끝나는 과거분사형 형용사]
(그녀는 낙엽을 밟으며 산책을 했다.)
Q. 형용사의 서술 용법에 대해서도 정리해 주세요.
----------------------------------------------------------------------
A. 형용사가 그것이 수식하는 명사와 떨어져 동사 뒤 또는 목적어 뒤에서 그 명사의 성질·상태 등을 서술하는 보어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형용사의 이런 용법을 서술 용법이라 합니다. 형용사가 서술 용법으로 쓰이는 경우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Point] 동사 뒤에서 주격 보어로 쓰일 때
형용사가 be 동사나 become, get, look, sound 등의 동사가 쓰인 2형식 문장에서 주격 보어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그런 경우가 형용사가 서술 용법으로 쓰이는 경우입니다. 참고로 2형식 문장이란 "I am a boy." 같은 문장에서처럼 <주어(I) = 주격 보어(a boy)>의 관계가 성립되는 형식의 문장을 뜻합니다.
예) The diligent man became very rich. [The diligent man = rich]
(그 부지런한 남자는 아주 부유해졌다.)
My mother looked happy at the news. [My mother = happy]
(어머니는 그 소식을 듣고 행복해 보였다.)
[Point] 동사의 목적어 뒤에서 목적 보어로 쓰일 때
형용사가 make, find, think, leave 같은 동사의 목적어 뒤에서 목적 보어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 역시 형용사가 서술 용법으로 쓰이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He made me sad."(그는 나를 슬프게 만들었다.)라는 문장에서는
예) She found the novel interesting. [the novel = interesting]
(그녀는 그 소설이 재미있다는 걸 알게 됐다.)
Why did you leave that door open? [that door = open]
(너 왜 저 문을 열어놓았니?)
[Point] 서술 용법으로만 쓰이는 형용사들
형용사들 가운데는 명사 바로 앞뒤에서 그 명사를 수식하는 한정 용법으로는 쓰이지 않고, 동사 뒤로 물러 앉아 서술 용법으로만 쓰이는 특이한 형용사들이 있습니다.
▶ afraid, asleep, alike, awake, aware, alone 등, a-로 시작하는 형용사들
예를 들어 ‘고독한, 외로운’의 뜻을 가진 형용사 alone은 “He was alone.” 식으로 서술 용법으로는 써도, "He was an alone man." 식으로 바로 앞에서 명사(man)를 수식하는 한정 용법으로는 쓰지 못합니다. 똑같이 ‘고독한, 외로운’의 뜻을 가진 형용사 lonely가 "He was a lonely man." 식으로 쓰일 수 있는 것과는 비교가 되지요.
예) His little daughter is not afraid of dogs.
(그의 어린 딸은 개를 무서워하지 않는다.)
She and her baby were asleep sound.
(그녀와 그녀의 아기는 푹 잠들어 있었다.)
They are very much alike in that respect.
(그것들은 그 점에서 아주 비슷하다.)
She was wide awake all night.
(그녀는 뜬 눈으로 밤을 샜다.)
He got out of the room before I was aware.
(그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사이에 방을 나갔다.)
She said that she wanted to be alone.
(그녀는 혼자 있고 싶다고 했다.)
▶ well, ill, glad, content, fond, sorry 등의 형용사
'미안하다’는 뜻의 형용사 sorry를 "I am sorry." 식으로 말하는 건 들어 보셨어도, a sorry man 식으로 말하는 건 들어 보신 적이 없을 것입니다. 영어의 형용사들 중에는 이처럼 아주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주로 서술 용법으로만 쓰이는 형용사들이 있습니다.
예) She said that her family were all well.
(그녀는 자기 가족이 다 잘 지낸다고 했다.)
He was not content with the result.
(그는 결과에 만족하지 못했다.)
I am very fond of classical music.
(나는 고전 음악을 아주 좋아합니다.)
Q. 한정 용법과 서술 용법으로 쓰일 때 뜻이 달라지는 형용사들이 있다는데요....
---------------------------------------------------------------------
A. 예, 그런 형용사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형용사 able은 "He was a very able professor."(그는 아주 유능한 교수였다.) 식으로 한정 용법으로 쓰일 때는 그 뜻이 ‘유능한’이나, "I am able to do it."(난 그걸 할 수 있다.) 식으로 서술 용법으로 쓰일 때는 그 뜻이 ‘할 수 있는, 가능한’이 됩니다. 이처럼 일부 형용사들의 경우, 한정 용법으로 쓰일 때와 서술 용법으로 쓰일 때 그 뜻이 달라집니다. able 외에 certain, late, present 등의 형용사가 그 대표적인 예들입니다.
<형용사 certain의 경우>
예) I met a certain woman in the bank. [한정 용법으로 쓰여 ‘어떤’의 뜻}
(난 은행에서 어떤 여자를 만났다.)
I am certain of his being not guilty. [서술 용법으로 쓰여 ‘확실한’의 뜻]
(나는 그가 무죄라는 걸 확신한다.)
<형용사 late의 경우>
예) The late Dr. Kim was a millionaire. [한정 용법으로 쓰여 ‘작고한. 고(故)’의 뜻]
(고인이 된 김 박사는 백만장자였다.)
She was late at the meeting. [서술 용법으로 쓰여 ‘늦은’의 뜻]
(그녀는 회의에 늦었다.)
<형용사 present의 경우>
예) He is the present Mayor of Seoul. [한정 용법으로 쓰여 ‘현재의’의 뜻]
(그는 현 서울 시장이다.)
A lot of friends were present at her wedding. [서술 용법으로 쓰여 ‘참석한’의 뜻]
(많은 친구들이 그녀의 결혼식에 참석했다.)
'생활영어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맥으로부터 짐작하기 (0) | 2006.03.01 |
---|---|
성질 형용사와 수량형용사 (0) | 2006.03.01 |
독해 띄어 해석하기, 끊어 읽기 요령 (0) | 2006.03.01 |
영어 접속어 기능어구 모음 (0) | 2006.03.01 |
영어 발음의 비법 (0) | 2006.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