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성질형용사와 수량형용사는 또 뭔가요?
---------------------------------------------------------------------
A. 형용사는 크게 성질 형용사와 수량 형용사로 나뉘는데, 성질형용사는 문자 그대로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종류·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이며, 수량형용사는 문자 그대로 수와 양·정도를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Q. 성질형용사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
A. 성질형용사는 사물의 성질·종류·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로, 원래부터 형용사로 쓰이는 형용사, 물질명사에서 온 형용사, 분사형에서 온 형용사, 형용사 어미를 붙여 만드는 형용사 등이 있습니다.
[Point] 원래부터 형용사로 쓰이는 형용사들
영어 사전 상에 형용사로 올라 있는 형용사 가운데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종류·상태를 나태내는 형용사로, 우리가 알고 있는 거의 모든 형용사가 이 범주에 속합니다.
예) a good boy(착한 소년)
an honest woman(정직한 여자)
a delicious food(맛있는 음식)
a fierce dog(사나운 개)
[Point] 물질명사에서 온 형용사들
iron, gold, silver, glass, wood, paper, salt....같은 물질명사들은 ‘그 물질로 이루어진’ 정도의 뜻을 가진 형용사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이런 물질명사들 경우 irony, silvery, glassy, papery, salty 또는 golden, wooden 식으로 끝에 -y나 -en가 붙은 별도의 형용사들이 있는데, 그 경우 golden(금빛의), glassy(유리처럼 투명한, 반반한), salty(짠, 소금기가 있는) 식으로 의미가 조금 다릅니다.
예) an iron hat(철로 된 모자→ 철모)
a silver spoon(은으로 된 스푼→ 은 스푼)
a glass bottle(유리로 된 병→ 유리병)
a wood floor(나무로 된 마루→ 나무 마루)
a paper napkin(종이로 된 냅킨→ 종이 냅킨)
a salt breezes(소금을 함유한 바람→ 바닷바람)
[Point] 분사형에서 온 형용사들
동사 원형에 -ing를 붙인 현재분사형이나 -ed 등을 붙인 과거분사형이 명사 앞에서 형용사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현재분사형 형용사는 a barking dog(짖는 개) 경우에서처럼 진행 또는 능동(개가 직접 짖는 것임)의 의미를 지녀 ‘~하는, ~중인’ 식으로 해석되고, 과거분사형 형용사는 a broken arrow(부러진 화살) 경우에서처럼 수동(화살이 부러짐을 당한 것임)의 의미를 가져 ‘~된, ~되어진, ~당한’ 식으로 해석되는 게 일반적입니다.
▶ 현재분사형에서 온 형용사들
a interesting book(흥미를 유발하는 책→ 흥미로운 책)
a rolling stone(구르는 돌→ 변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
a walking dictionary(걸어다니는 사전 → 박식한 사람)
a developing country(개발중인 나라→ 개발 도상국)
▶ 과거분사형에서 온 형용사들
a wounded soldier(부상당한 군인)
a developed country(이미 개발된 나라→ 선진국)
fallen leaves(떨어진 잎새들→ 낙엽)
chosen people(선택된 사람들→ 신의 선민. 유대인들이 스스로를 칭하는 말)
[Point] 명사나 동사에 형용사 어미를 붙여 만들어진 형용사
우리말 명사 ‘어른’에 ‘-다운’이란 말을 붙이면 ‘어른다운’이란 형용사가 만들어지고, 동사 ‘먹다’에 ‘-할 수 있는’이란 말을 붙이면 ‘먹을 수 있는’이란 형용사가 만들어지듯, 영어에서도 명사나 동사에 특정 어미를 붙이면 형용사가 만들어집니다.
▶ 명사에 -y, -ly, -ish, -ous, -ful, -less 등이 붙어 만들어진 형용사
cloudy(구름 낀, 흐린), watery(물기 많은), hairy(털 많은), dirty(더러운), greedy(탐욕스런), ....
friendly(우호적인), manly(남자다운), earthly(이 세상의, 세속적인), heavenly(하늘의), timely(때맞춘), ....
childish(어린애 같은, 유치한), devilish(악마 같은), brownish(갈색을 띤), selfish(이기적인), ....
dangerous(위험한), pompous(거만한, 호화로운), vigorous(원기왕성한), courageous(용기있는), ....
careful(주의 깊은), useful(유용한), shameful(수치스런), hopeful(희망이 있는), fearful(무서운), ....
numberless(셀 수 없는, 무수한), useless(쓸모 없는), childless(아이가 없는), homeless(집이 없는), ....
▶ 동사에 -able, -ive, -ant, -ent 등이 붙어 만들어진 형용사
eatable(먹을 수 있는), breakable(깰 수 있는, 깨지기 쉬운), understandable(이해할 수 있는), ....
active(활동적인), attractive(사람 마음을 끄는), selective(선택성의), constructive(건설적인, 적극적인), ....
assistant(보조의), resistant(저항하는), repentant(후회하는), ascendant(올라가고 있는), ....
different(다른), insistent(주장하는), correspondent(일치[상응]하는), persistent(고집하는, 완고한), ....
Q. 수량형용사에 대해서도 좀더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
A. 주로 수와 양을 나타내는 수량형용사는 크게 두 가지, 즉 부정 수량형용사와 수사로 나뉩니다.
[Point] 부정 수량형용사
문자 그대로 하나, 둘, 셋, 넷 …처럼 정확한 수량이 정해져 있지 않고, 막연히 ‘많은’, ‘적은’, ‘약간의’ 식으로 해석되는 many, much, few, little, some, any 같은 수량형용사들을 정확한 수량이 정해져 있지 않다 하여 부정 수량형용사라 합니다.
▶ 부정 수량형용사 many와 much
둘 다 ‘많은’의 뜻이나, many는 셀 수 있는 명사에, much는 셀 수 없는 명사에 씁니다. 또한 many가 붙는 명사는 셀 수 있는 명사이므로 복수형으로 만들어 복수 취급을 하며, much가 붙는 명사는 셀 수 없는 명사이므로 그 자체를 복수로 만들지 않으며 단수 취급을 합니다.
예) Many houses were destroyed by the flood. [many + 복수 명사. 복수 취급}
(홍수로 많은 집들이 파괴됐다.)
Much more care was necessary. [much + 단수 명사. 단수 취급]
(보다 많은 주의가 필요했다.)
☞ 셀 수 있는 명사, 셀 수 없는 명사 가려가며 many나 much를 쓰는 게 골치 아프다면,
a lot of나 lots of, plenty of 같은 말들을 쓰십시오. many와 much처럼 ‘많은’의 뜻을 가진
말이나, 셀 수 있는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 가리지 않고 두루 쓸 수 있는 편리한 말들입니다.
예) He has a lot of[lots of, plenty of] books. [book → 셀 수 있는 명사]
(그에겐 많은 책이 있다.)
He drank a lot of[lots of, plenty of] water. [water → 셀 수 없는 명사]
(그는 많은 물을 마셨다.)
▶ 부정 수량형용사 few와 little
각각 many와 much의 반대어로 둘 다 ‘극히 적은, 거의 없는’의 뜻이나, few가 붙는 명사는 셀 수 있는 명사로 복수형으로 만들어 복수 취급을 하며, little이 붙는 명사는 셀 수 없는 명사이므로 그 자체를 복수로 만들지 않으며 단수 취급을 합니다.
예) Few students were present at the meeting. [student → 셀 수 있는 명사]
(그 회의에 참석한 학생은 거의 없다.)
There is little hope of his recovery. [hope → 셀 수 없는 명사]
(그가 회복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 few와 little이 거의 없다는데 초점을 맞춘 말이라면, 그 앞에 부정관사 a를 붙인 a few와
a little은 조금은 있다는데 초점을 맞춘 말입니다.
예) He has few friends.(그에겐 친구가 거의 없다.) [few → 없다는데 초점]
He has a few friends.(그에겐 친구가 좀 있다.) [a few → 있다는데 초점]
There is little milk in the bottle.(병 속엔 우유가 거의 없다.) [little → 없다는데 초점]
There is a little milk in the bottle.(병 속엔 우유가 좀 있다.) [a little → 있다는데 초점]
[Point] 수사(기수, 서수, 배수)
하나, 둘, 셋, … 하고 수를 셀 때 쓰는 기수와 첫째, 둘째, 셋째, … 식으로 순서를 셀 때 쓰는 서수, 반 배, 두 배, 세 배, … 할 때 쓰는 배수를 통틀어 수사라고 합니다.
☞ 하나, 둘, 셋, … 수를 셀 때 쓰는 기수
one, two, three, four, five, six, ....
▶ 첫째, 둘째, 셋째, … 순서를 나타내는 서수
서수는 첫째, 둘째, 셋째까지는 기수 one, two, three와 전혀 다른 first, second, third를 쓰고, 그 이후는 fourth, fifth, sixth, .... 식으로 기수에 -th를 붙여 만듭니다. 그리고 the second day of the month(한달의 두 번째 날) 식으로 서수 앞에는 정관사 the를 붙이는 게 원칙입니다. 참고로 철자가 틀리기 쉬운 서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수> <서수>
five fifth
eight eighth
nine ninth
twelve twelfth
twenty twentieth
thirty thirtieth
forty fortieth
☞ ‘2차 세계대전’은 기수를 써서 World War Two라 하거나, 서수를 써서 the Second World
War 또는 World War II(Second)라 합니다.
▶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배수
2배, 3배, 4배, … 할 때는 two times, three times, four times, .... 식으로 기수 뒤에 ‘ ~배’라는 뜻의 times를 붙이며, twice(2배), thrice(3배), quadruple(4배), ...식의 말을 쓰기도 합니다.
2배 twice/ two times time
3배 thrice/ three times
4배 quadruple/ four times
5배 quintuple/ five times
6배 sextuple/ six times
7배 septuple/ seven times
8배 octuple/ eight times
9배 nonuple/ nine times
10배 decuple/ ten times
▶ 연도, 전화번호, 날짜, 소수, 분수 읽는 법
기왕 수사 얘기가 나온 김에, 일상생활에서 꼭 필요한 연도, 전화번호, 날짜 읽는 법에 대해 살펴보고, 소수 및 분수 읽는 법 등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연도 읽는 법>
예를 들어 1989년은 영어로 어떻게 읽어야 할까요? 두 자리씩 끊어, nineteen eighty nine 식으로 읽든가 nineteen hundred and eight two 식으로 읽습니다. 이때 앞에서부터가 아니라 뒤에서부터 두 자리씩 끊어 읽는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랍니다.
15 fifteen
328 three twenty eighty/ three hundred and twenty eighty
1600 sixteen hundred
1609 sixteen nine/ sixteen hundred and nine
1957 nineteen fifty seven/ nineteen hundred and fifty seven
2000 twenty hundred/ two thousand
2003 twenty three/ twenty hundred and three
☞ 수의 단위인 hundred, thousand, million, billion 등은 예를 들어 two hundred, five million 식으로 그 앞에 two 이상의 수가 붙어도 복수형 어 미 -s나 -es를 붙이지 않습니다.
<전화번호 읽는 법>
우리 경우 720-8114라는 전화번호는 ‘칠백이십국에 팔천백십사 번’ 또는 ‘칠이공에 팔일일사’ 식으로 읽지만, 영어 경우에는 전자처럼 읽는 경우는 없고, 후자 식으로 seven two zero, eight one one four라 읽습니다. 우리말 경우에는 국 뒤에 ‘에’자를 붙이지만, 영어 경우에는 국 뒤에 쉼표(,)를 두어 잠시 끊었다 뒤의 번호를 읽으면 되는 것입니다. 전화번호를 순서대로 한 자리씩 읽어주면 되니까, 우리말보다 더 쉽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123-7695 one two three, seven six nine five
3272-1004 three two seven two, one zero zero four
<날짜 읽는 법>
예를 들어 8월 16일은 영어로 어떻게 읽을까요? 가장 쉬운 방법은 먼저 월을 읽고 그 뒤에 18을 기수로 읽는 August sixteen. 서수를 써서 읽을 때는 월 뒤에 <정관사 + 서수>를 써 August the sixteenth, 정관사를 뺀 채 서수만 써 August sixteenth, 또는 날짜를 앞으로 보내고 뒤에 전치사 of를 붙여 the sixteenth of August라 할 수도 있습니다.
5월 1일 May one
May the first
May first
the first of May
7월 23일 June twenty three
June the twenty third
June twenty third
the twenty third of June
<소수 읽는 법>
예를 들어, 123.456이라는 소수의 경우, 우리말로는 ‘백 이십 삼 점 사 오 육’ 식으로 읽는데, 영어로는 어떻게 읽을까요? 한 마디로 우리말 경우와 똑같습니다. 우선 소숫점(point) 앞은 일반 숫자(기수) 읽는 법 그대로 one hundred twenty three 또는 one hundred and twenty three 식으로 읽습니다. 소숫점( . )은 point. 소숫점 이하는 전화번호 읽는 식으로 four five six 식으로 숫자 하나 하나를 따로 읽습니다.
461.32 four hundred sixty one point three two
26.43 twenty-six point four three
3.14 three point one four
0.195 zero point one nine five
<분수 읽는 법>
우리는 분수를 읽을 때 2분의 1, 3분의 2, 5분의 4… 식으로 분모를 먼저 읽고 분자를 나중에 읽습니다. 그러나 영어의 경우 분자를 먼저 읽는 등 우리 경우보다 읽는 법이 좀 복잡하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먼저 분자는 기수인 one(또는 부정 관사 a), two, three, four, five, .... 식으로 읽고, 분모는 2와 4는 half와 quarter를, 그 나머지 3, 5, 6, 7, … 등은 서수인 third, fifth, sixth, seventh, ... 식으로 읽습니다. 또한 분자가 2 이상인 분수는 복수형 취급을 해 two-thirds(2/3), three-fourths(3/4) 식으로 맨 뒤에 복수형 어미 -s, -es를 붙입니다. 1/2과 1/4 경우만 특별히 half(반)나 quarter(1/4)란 단어를 써 각각 a-half(또는 one-half), a-quarter(또는 one-quarter)식으로 읽고, 나머지 경우는 다 기수-서수 식으로 읽되 분자가 2 이상일 때만 맨 뒤에 복수형 어미 -s, -es를 붙인다. 이렇게 기억해 두시면 되겠습니다.
- 분자가 1인 분수들 읽는 법
1/2 a-half (또는 one-half)
1/3 a-third (또는 one-third)
1/4 a-quarter (또는 one-quarter)
1/5 a-fifth (또는 one-fifth)
1/6 a-sixth (또는 one-sixth)
- 분자가 2보다 큰 분수들 읽는 법
2/3 two-thirds
2/4 two-fourths
3/4 three-fourths
2/5 two-fifths
3/5 three-fifths
4/5 four-fifths
<소숫점이 들어간 금액 읽는 법>
우리 경우와 달리 미국 경우 $ 25.38 식으로 소숫점이 들어가는 금액이 있는데, 소숫점 앞은 dollar로, 소숫점 뒤는 cent로 읽어, twenty five dollars and thirty eight cents라 합니다. 이때 dollars 다음의 and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참고로 미국 화폐 단위인 dollar는 복수형이 dollars이지만, 우리 화폐 단위인 won과 일본 화폐 단위인 yen은 단수·복수형이 같아 복수형일 때도 wons나 yens라 하지 않고, 그냥 won, yen이라 합니다.
· $ 126.85 one hundred and twenty six dollars (and) eighty five cents
$ 35,000 thirty five thousand dollars
₩ 35,000 thirty five thousand won
☞ 구어체에서는 종종 dollars와 cents라는 말까지 생략한 채 간단히
one hundred and twenty six eighty five라 하기도 함
'생활영어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어는 어떻게 익히나 (0) | 2006.03.01 |
---|---|
문맥으로부터 짐작하기 (0) | 2006.03.01 |
형용사란 (0) | 2006.03.01 |
독해 띄어 해석하기, 끊어 읽기 요령 (0) | 2006.03.01 |
영어 접속어 기능어구 모음 (0) | 2006.03.01 |